2020 연봉 실수령액 체크

샐러리맨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역시 연봉입니다. 자신의 연봉은 스스로의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절대적 기준이 되기 때문에 연봉을 높히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가끔 간과하는 사실은 연봉이 실수령액과 차이가 있다는 점입니다.

 

 

연봉별 실수령액을 알아보면 생각보다 차감되는 금액이 적지 않아 샐러리맨 입장에서 다소 속상한 부분이 있지만 2020 연봉 실수령액 한 번 들여다보겠습니다.

 

 

차감액

 

 

연봉액과 실수령액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아마도 세금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근로소득세를 차감하고 받기 때문에 연봉과 실수령액에 차이가 생깁니다. 근로소득세는 미미한 수준이죠.

 

네이버 임금계산기

 

 

 

2020 연봉 실수령액을 확인해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툴로 네이버 임금계산기가 있습니다. 네이버에서는 다양한 계산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금계산기에서 연봉을 선택하고 금액을 넣은 후 계산하기를 누르면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의로 연봉 7,500만원을 계산해보았는데, 실수령액은 연 61,380,720원으로 무려 1400만원 가까이가 차감이 되고 지급되는 셈입니다. 매달 받을 수 있는 월급으로 환산하면 511만원 정도를 수령하게 되는 것이죠. 참고로 산재보험은 전액 회사 부담이라 차감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눈여겨 보아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비과세액으로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수에 따라 이 금액이 달라집니다. 20세 이하의 자녀 1명과 배우자가 있을 있다면 7500만원의 연봉 실수령액은 63백만원을 넘어섭니다. 매달 17만원 가까이의 월급을 더 받게 되는 셈입니다.

 

간이세액표

 

 

부양가족, 20세 이하의 자녀 수에 따라 2020 연봉 실수령액이 달라지는 걸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간이세액표이고 국세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과 엑셀, pdf 문서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나의 월급 한 달에 납부하는 세금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월 급여액과 전체 공제대상 가족수(본인 포함), 전체 공제대상 가족 중 20세 이하 자녀수를 입력하면 나의 월급에서 한 달에 납부하는 세금을 계산해줍니다. 월 급여액은 비과세 소득을 의미하고 20세 이하의 자녀라도 소득금액이 100만원을 초과하면 20세 이하의 자녀수에서 제외합니다.

 

 

공제 대상 가족의 수가 많을수록 세금은 적게 내어 있습니다. 2020 연봉 실수령액에 영향을 미치는 간이 세액표를 살펴보면 원급여액이 350만원~352만원 구간은 부양가족 없이 혼자라면 월 142,220원의 세금을 공제 당하지만, 부양 가족이 자신 포함 5명이라면 세금은 46,710원으로 확 줄어듭니다.

 

연봉 실수령액

 

 

 

2020 연봉 실수령액은 2020년 1월부터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의 인상으로 영향을 받게 됩니다. 2019년 12월까지 건강보험료는 6.46%였는데, 2020년 1월부터 6.67%로 0.21% 인상하였습니다. 장기요양보험은 8.51%에서 10.25%로 1.74% 인상하였습니다.

 

 

올해 최저시급은 8,590원, 월급으로 계산하면 1,795,310원, 연봉으로 계산하면 21,543,720원임을 알고 2020 연봉 실수령액을 살펴봐야겠습니다. 우선 2000만원부터 4000만원까지 살펴보면 연봉이 2400만원일 경우 공제합계액이 201,000원이 되어 실수령액은 월 1,799,000원입니다.

 

 

 

연봉이 4,800만원이라고 하면 우린 12개월로 나눠 한 달에 400만원은 받으리라 짐직하지만 공제합계액이 591,120원이 되어 실수령액은 3,408,880원입니다. 연봉 6,000만원이라면 월 실수령액은 4,165,650원이고 7,000만원이라면 월 실수령액은 4,775,913원입니다.

 

 

한 달에 월급으로 500만원을 실제 수령하고 싶다면 연봉은 7500만원이어야 합니다. 참고로 직업별 연봉순위를 보면 연봉 순위 7위(1억)는 내과,산부인과,이비인후과,안과,비뇨기과의사와 항공기조정사입니다. 6위는 대학교총장 및 대학학장, 공동 4위는 도선사, 피부과의사, 3위는 기업 고위임원, 2위는 성형외과 의사, 1위는 국회의원 1억 4천만원입니다.

 

 

2020 연봉 실수령액을 모두 살펴보았습니다. 자신의 연봉을 표에서 찾아서 실제 받고 있는 실수령액과 비교해볼 수도 있고 이만큼 실수령액을 받기 위해선 과연 얼만큼의 연봉을 받아야 하는가 역으로 계산해보는 것도 의미있어 보입니다.

 

'지식탐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